[0471] 변동성분석차트
1. 화면설명
옵션의 가격을 결정하고 고평가 및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가장 큰 변수인 옵션의 변동성의 추이를 서로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분석 그래프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일별조회] [시간별조회] 중 조회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조회 기간을 설정합니다.
[KOSPI200] [선물] 중 [기초자산]을 선택합니다.
분석 그래프를 조회할 [변동성]을 선택합니다.
[변동성]은 크게 역사적 변동성(H.V)와 내재변동성(I.V)로 나누어지며, 역사적 변동성은 날짜를 직접 입력하여 최대 3개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내재변동성은 '대표평균, 콜평균, 풋평균'과 각 개별옵션 4개 등 총 7개의 내재변동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Tip. 옵션에서의 변동성
옵션의 가격은 '기초자산(주가지수)의 가격, 옵션의 행사가격, 만기까지의 잔여기간, 이자율, 변동성, 그리고 배당수익률' 6가지 변수를 통하여 구합니다.
이들 6가지 변수 중 변동성을 제외한 변수는 알려진 값들입니다. 따라서 옵션의 고평가, 저평가 여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변동성이 됩니다.
다시 말하면 위의 6가지 변수를 옵션가격결정모형에 대입하여 옵션이론가를 구하게 됩니다.
그런데 시장에서 거래되는 실제 옵션 가격은 옵션 이론가와 가격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는 일시적인 수급요인이나 만성적인 저평가 또는 고평가가 그 원인이 될 수도 있는데 이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바로 변동성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옵션이론가를 구하기 위해 대입하는 변동성은 과거자료로부터 추정한 '역사적 변동성'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역사적 변동성은 과거 데이터를 사용한 것이므로 앞으로 나타날 미래의 변동성을 정확히 나타내지는 못하게 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해 낸 개념이 바로 내재변동성 입니다.
역사적변동성이 과거 데이터를 사용하여 만들어낸 변동성인 반면에 내재변동성은 과연 어떤 변동성을 대입했을 때 옵션시장가격이 나올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가 거꾸로 옵션가격결정모형에 옵션시장가격을 대입해서 구한옵션의 변동성입니다.
1. 변동성이란?
옵션거래에서 사용하는 변동성은 옵션의 만기까지의 기초자산가격 변화율의 분포의 정도 (표준편차) 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즉,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기간동안 어느 정도 움직이는가를 표시한 것입니다.
특히 변동성이 높을수록 대상자산의 가격변동이 크며 변동성이 높은 대상자산, 즉 가격변동성이 큰 자산을 대상으로 한 옵션은 권리행사가격과 대상자산의 가격과의 차이가 클 가능성이 높으므로 옵션의 가격도 높게 형성됩니다.
2. 역사적 변동성
과거 데이타를 이용한 일정기간 동안의 기초자산가격 변화율의 표준편차 입니다.
3. 내재변동성
옵션의 시장가격에 내재된 변동성, 즉 옵션가격결정모형에서 산출된 이론가격이 시장가격과 같아지도록하는 변동성을 의미합니다.
옵션의 이론가는 기초자산가격, 행사가격, 잔존기간, 변동성, 이자율로 정해지는데 이중 변동성을 변수로 놓고 역산하여 계산한 값입니다.
4. 실전투자에서의 적용
선물.옵션 투자에서 앞으로의 변동성이 어떻게 될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은 전략을 선택할 때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변동성이 확대된다고 판단된다면 양매수 전략이나 백 스프레드 전략 등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변동성이 축소되는 국면에서는 양매도 혹은 버터플라이 매수 등의 전략을 구성해야 이익이 날 것입니다. 본 화면을 통하여 앞으로의 변동성의 확대/축소 여부를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변동성은 평균을 기준으로 진동하며 평균(역사적 평균)에서의 괴리가 클 때는 평균값으로 회귀하려는 성질을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변동성의 이러한 성질을 비교 평가하여 실전 거래에서 응용할 수 있습니다.)
장단기 변동성의 정배열/역배열 여부를 통하여 현재 변동성 변화의 추세를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2. 차트 하단메뉴 / 도구버튼
하단메뉴
차트 하단에서는 현재 조회차트의 이전차트를 조회하기 위한 스크롤바 및 차트 확대바와 각종 기능버튼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도구버튼

: [차트도구편집]창이 팝업되어 차트상에 표시할 도구버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차트환경설정] 창이 팝업되어 차트의 종류, 색상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지표 추가/전환 - 기술적지표] 창이 팝업되어 원하는 지표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수치조회창]이 팝업되어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 '일자/시간'의 각종 시세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화면 최대/최소 설정]창이 팝업되어 차트상에 표시할 최대/최소값의 유형과 최대값, 최소값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버튼을 클릭하면 마우스 위치에 따라 십자선이 제공됩니다.

: 버튼을 클릭하면 차트에 [수평추세선] [수직추세선] [직선추세선]을 작도할 수 있습니다.

: ‘돋보기' 버튼으로 마우스가 위치한 부분을 확대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 버튼을 클릭하면 차트를 순차적으로 ‘축소/확대/전체보기' 할 수 있습니다.

: 버튼을 클릭하면 차트의 배열을 [가로배열(H)] [세로배열(V)] [바둑판배열(T)]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