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면설명
고객 신용계좌의 현재 담보비율을 조회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화면 상의 조회 항목은 크게 '신용현황, 담보금, 소요담보금, 담보부족/담보비율' 의 4 개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본 화면에서 눈여겨 보실 영역은 화면 우측의 [소요담보금] 과 [담보부족/담보비율] 항목으로,
[소요담보금] 영역에서는 '융자/대출소요담보, 대주소요담보금, 소요담보계 ' 등의 항목을 통하여 적용담보비율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금액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적정담보비율(담보유지비율)이 원담보만으로 부족한 경우 '추가신용담보대용' → '추가신용담보현금' 순으로 담보를 잡게 됩니다.
[담보부족/담보비율] 영역에서는 현재 유지되고 있는 신용담보비율(%) 과 이로 인한 신용담보부족액 및 신용/대출이자미납액을 조회하여 부족한 담보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어설명
융자(대주)금액
신용(대주)으로 매수(매도)할 경우 주식매수대금의 일부는 고객의 계좌에서 인출되며, 나머지 일부(대주는 매도주식 전체)는 증권사를 통해 신용공여 받게 됩니다. 이 금액이 융자(대주)금액이 됩니다.
신용금액계
융자금액과 대주평가금액의 합계입니다.
신용금액계 = 융자금액 + 대주평가액(대주한 주식의 상환을 위한 시세평가액)
융자원담보
신용 주식(신용융자로 매수한 주식)의 수량에 종가를 곱한 금액입니다.
융자원 담보 = (신용수량 - 상환수량) * 기준가
대주원담보
대주금액(대주매도금액)을 의미합니다.
원담보계
융자원담보금과 대주원담보금의 합계입니다.
원담보계 = 융자원담보 + 대주원담보
권리대용금
신용계좌에 대하여서 유/무상 권리의 발생으로 인하여 권리락이 되는 경우, 주가의 하락으로 인한 담보유지비율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권리락된 부분만큼의 금액을 감안합니다. 이를 권리대용금액이라고 합니다.
부담보계
= 대용금액 + 권리대용금 + 예수금 - 제미수금
담보계
원담보계와 부담보계의 합계를 나타내는 항목입니다.
담보계 = 원담보계 + 부담보계
소요담보계
융자/대출소요담보, 대주소요담보금, 대출소요담보금" 등 필요한 담보금의 합계를 나타내는 항목입니다.
추가신용담보대용(현금)
원담보부족액에 대해서 '대용 → 현금' 순으로 추가로 징수한 담보금입니다.
원담보부족액
소요담보금계에서 원담보계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 반대매매 』
만약 계좌의 담보유지비율이 적용담보비율(담보유지비율)에 미달시에는 SMS 메세지 등을 통해 추가담보를 요구하며, 요구일까지 추가담보를 제공하지 않으실 경우에는 그 익일 아침 담보부족금액을 해소하는 금액만큼 동시호가 (단일가매매) 에 반대매매하여 임의상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