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정리

CCI

No/구분 8 추세지표
지표명 CCI
지표1 CCI(Period) CCI(Period)
지표2 시그널(sigPeriod) eavg(CCI(Period),sigPeriod)
지표3
지표4
지표5
변수/기본값 Period,sigperiod 20.8
내용 1.개요
CCI는 Donald Lambert에 의해 개발된 지표이다.
Lambert는 상품의 가격움직임이 사인(Sine)곡선과 같이 일정한 사이클을 가지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기초로 하여 개발한 지표가 CCI이다. 원래는 상품에 적용하기 위해서 디자인되었으나 주식시장에도 잘 적용된다.CCI는 가격과 일정기간 동안의 평균가격간의 차이를 가격의 평균오차 (Mean deviation)로 조정한 것으로 가격의 표준화된 이탈정도를 의미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 ± 100사이에 포함되는데 이 구간을 벗어날 경우에는 매매기회가 발생한다.

2.계산식
CCI의 계산에서 주가 데이타는 (고가+저가+종가)/3을 사용하고, 기간은 5일에서 25일 사이의 기간을 사용하면 적절하다. 계산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평균오차(Mean deviation)의 계산
CCI에서는 표준편차를 사용하지않고 평균오차를 사용하는데, 평균오차는 현재의 주가 이동평균 값과 주가와의 차이에 절대치를 취하여 더한 것을 이동평균에 사용된 기간으로 나누어 평균을 구한 것이다.

2) CCI의 계산
당일의 주가와 당일의 이동평균과의 차이를 위에서 계산한 평균오차에 0.015를 곱한 것으로 나누어 구한다. 여기서 0.015를 곱해주는 이유는 ?100 사이에서 대부분의 주가가 움직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3.해석
CCI의 분석기법으로는 다른 오실레이터 지표와 마찬가지로 과매수/과매도 분석과 괴리도 분석이 이용된다.

1) 과매수(Overbought)/과매도(Oversold) 분석
CCI가 -100 수준일 때를 과매도, +100 수준 일때를 과매수신호로 보고 분석한다. 즉 CCI가 -100 아래에서 위로 상승할 경우에는 매수신호를 나타내고, +100 위쪽에서 아래로 하락할 경우에는 매도신호를 나타낸다. 이러한 분석기법은 시장이 횡보장세일 경우에는 적절한 매매신호를 나타내지만, 추세를 형성한 경우에는 너무 때이른 매매신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2) 괴리도(Divergence) 분석
일반적으로 지표와 주가가 괴리를 보인다는 것은 지표의 움직임 방향과 주가의 움직임 방향이 서로 다를 경우를 의미한다.
주가가 신고가에 도달했으나 CCI는 이전의 상승에서보다 낮은 곳에서 고점을 형성할 경우에는 약세괴리로 매도신호를 나타내고, 반대로 주가는 신저가에 도달했으나 CCI는 이전의 하락에서보다 높은 곳에서 저점을 형성할 경우에는 강세괴리로 매수신호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