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정리
No/구분 | 15 | |
지표명 | Momentum | |
지표1 | Momentum(Period) | (c-c(Period)) |
지표2 | ||
지표3 | ||
지표4 | ||
지표5 | ||
변수/기본값 | Period | 10 |
내용 | 1.개요 Momentum은 당일의 가격과 이전의 가격을 비교함으로써 추세가 속도를 더하고 있는지 아니면 감속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다시말하면 추세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모멘텀은 주가에 선행하는 지표로서 추세의 속도가 언제 증가하고, 언제 감소하고, 또 언제 횡보할 것인가를 보여주지만 매매룰로서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주가의 변동상황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2.계산식 가격 Momentum은 당일의 가격에서 선택된 기간 이전의 가격을 뺀 것이다. 모멘텀을 계산할 때에는 반드시 모멘텀 파라미터인 기간을 사전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모멘텀의 파라미터는 가능한 한 짧은 기간의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Momentum = 당일의 종가 - n일전의 종가 3.해석방법 -제로라인의 교차 : 많은 투자가들은 모멘텀이 기준선(Zero-line)을 상승 돌파할 때에는 매수신호, 하락돌파시에는 매도신호로 사용하지만, 여기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은 기본적인 추세의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중요한 추세가 상승 추세일 때에는 매도신호는 무시하고, 매수신호만을 따라야 된다. -괴리도(Divergence) 분석 : 가격은 신고가에 도달했으나 Momentum은 이전보다 낮은 고점을 기록하고 하락할 때에는 매도신호를 나타내고, 가격은 신저가로 하락했으나 모멘텀은 은 이전보다 높은 저점을 기록하고 상승할 때에는 매수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주가가 상승하는 반면에 모멘텀은 하락하고 있으면 주가가 최고점에 거의 근접했음을 나타내며 매도를 준비해야 한다. 반대로 주가는 하락하고 있지만 모멘텀이 상승하고 있다면 주가는 최저점에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며 서서히 매수를 준비해야 한다. -전통적 차트분석 기법의 이용 :전통적 분석기법의 하나인 추세분석을 모멘텀 분석에 응용할 수 있다. 모멘텀의 추세선 돌파는 가격의 추세선 돌파보다 1~2일 앞서 일어난다. 따라서 모멘텀이 그 추세선을 돌파(예컨데 중요한 지지선 혹은 저항선을 돌파)했을 때에는 뒤이어 있을 가격의 추세선 돌파를 준비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