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정리
No/구분 | 56 | |
지표명 | Stochastics Fast | |
지표1 | StochasticsFAST(Period) | StochasticsFast(Period) |
지표2 | 시그널(sigPeriod) | eavg(StochasticsFast(Period),sigPeriod) |
지표3 | ||
지표4 | ||
지표5 | ||
변수/기본값 | Period, sigperiod | 5,3 |
내용 | 1.개요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을 때 종가는 최고가 부근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고, 하락 추세에 있을 때에는 최저가 부근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주가의 변동폭과 당일 종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K와 %D를 이용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 2.계산식 ![]() Slow %K = Fast %D = Fast %K의 M기간의 이동평균 Slow %D = Slow %K의 L기간 이동 평균 %K가 100이면, 금일 종가가 최근 N일 동안의 최고가, %K의 값이 0이면 금일 종가가 최근 N일의 최저가 3. 함수식 Stochastics: StochasticsSlow(Period,sigPeriod) Signal : eavg(StochasticsSlow(Period,sigPeriod),Period1) Stochastics Fast : StochasticsFast(Period) Signal : eavg(StochasticsFast(Period),sigPeriod) 4. 활용 방법 방법 1: 과매도/과매수 %K가 80(혹은 70) 이상 매도, 20(혹은 30)이하 매수 과매수 구간에서는 과매수 구간 하향 이탈 시점 매도 과매도 구간에서는 과매도 구간 상향 이탈 매수 방법 2: %K, %D 교차 과매수, 과매도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K가 %D를 상향 돌파시 매수, 하향 돌파시 매도 방법 3: Divergence 주가가 상승 추세이지만 %D가 기존의 최고 수준을 갱신하지 못하면 매도 Divergence 주가가 하락 추세이지만 %D가 기존의 최저 수준을 갱신하지 못하면 매수 Divergence 방법 4: 과매수/과매도에서 %K와 %D가 교차 %K가 %D를 하향돌파하면 매도, 상향돌파하면 매수 과매수 상태나 과매도 상태에서 %K와 %D가 교차하면 신호의 신뢰도가 높다. 방법 5: Hinge 상승 혹은 하락 추세로 움직이던 %K가 갑자기 움직임이 둔화될 때 추세가 바뀔 수 있음으로 주의 %K가 지금까지의 움직임과 갑자기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 추세 반전 신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