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정리
No/구분 | 75 | |
지표명 | Positive Volume Index | |
지표1 | PVI | PVI(c) |
지표2 | 시그널(Period) | ![]() |
지표3 | ||
지표4 | ||
지표5 | ||
변수/기본값 | Period | 64 |
내용 | 1.개요 PVI는 현명한 투자가는 거래량이 증가되는 상태의 시장에서 매매를 행하는 반면에 일반 대중은 거래량이 충분이 증가된 상태에서 매매를 한다는 기본가정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이 지표는 전일에 비해서 거래량이 증가했을 경우에만 관심을 가진다. PVI에 정반대의 관점에서 출발한 지표로 NVI(Negative Volume Index)가 있다. 2. 계산식 PVI는 특정일을 시작일로 하여 누적해서 구하는 지표이다. 이때 시작일의 PVI 값은 100으로 한다. 전일의 거래량과 비교하여 당일의 거래량이 동일하거나 감소했을 경우의 PVI는 전일과 같고, 감소했을 경우에는 전일의 PVI에 가격 상승률을 더해준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1) 당일의 거래량이 전일보다 증가했을 경우 ![]() 2) 거래량이 같거나 감소했을 경우 ![]() 3.해석방법 PVI는 보다 주관적인 관점에서 해석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인 해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전통적인 차트분석 기법의 적용 : 추세선, 저항선/지지선 등의 전통적인 차트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PVI를 분석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분석기법을 말한다. 2) 이동평균의 활용 : PVI의 과거 1년간의 이동평균을 구해 당일의 PVI가 이동평균 위에 있을 때에는 주가의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대로 이동평균 아래에 있을 때에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측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