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 순위분석
해외주식 PER/PBR순위 [2098]
1. 화면설명
기업의 펀더멘탈을 나타내주는 지표인 PER과 PBR을 이용해서 현재 종목의 주가가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2. 화면내용
선택창
당일거래대금 상위 종목을 조회할 대상 시장과 종목 조건, 거래량, 가격조건 및 거래대금 조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PER/PBR 순위를 검색할 시장을 ‘미국, 중국, 홍콩’ 중 선택할 수 있고 각 시장의 업종별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저PER, 고PER, 저PBR, 고PBR’ 중 조회 원하는 항목을 선택합니다.
PER, 예상PER‘ 중 조회 원하는 항목을 선택합니다. (PBR은 예상값이 없습니다.)
PER 선택시 데이터 테이블 값이 PER과 EPS 값으로 나오며,
예상 PER 선택시 데이터 테이블 값이 예상PER과 PER 값으로 전환됩니다.

‘증거금 100%, 증거금 50%’ 증거금률에 따른 조회 구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10만주, 15만주, 20만주, 30만주, 50만주 이상…' 중 조회 원하는 거래량 조건을 선택합니다.
'USD 5 미만, USD 10 미만, USD 10 이상, USD 10~20…' 중 조회 원하는 가격조건을 선택합니다.
‘USD 1만, USD 3만, USD 5만, USD 10만, USD 30만 이상…’ 중 조회 원하는 거래대금 조건을 선택합니다.
표시창
선택창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종목들의 종목명, PER/PBR, 현재가, 등락률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률 : 주가수익률은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어 주가 10,000원짜리 기업이 주당 1,000원의 순익을 거뒀다면 PER은 10배가 된다.
주가 5,000원짜리 기업이 주당 1,000원의 순익을 거뒀다면 PER은 5배가 된다. 즉 두 기업은 이익은 같은데도 전자의 기업은 주가가 두배로 평가되어 있는 셈이다.
→ EPS : 기업이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냈는가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주가 10,000원짜리 기업이 순이익 1,000원을 냈다면 주당순이익은 0.1이 된다.
주당순이익(EPS)는 주로 PER를 계산하기 위한 값으로 이용되며 단독으로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PBR(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를 1주당 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이다.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표시하며 PER과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낸다.
→ BPS : 주당순자산가치 혹은 청산가치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이 돌아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이다.
회사에 순자산이 1억이 있고, 총 발행된 주식이 1만장 있다면 주당순자산은 1만원이 된다.